본문 바로가기
경제정책, 지원제도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신청 및 사용방법

by 부동산가이더 2023. 7. 6.

알뜰교통카드는 교통비를 줄여주기 위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도보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는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정부 지원사업입니다. 이러한 혜택이 강화된 알뜰교통카드플러스 카드가 7월 3일부터 바뀌었습니다. 연 최대 75만원까지 교통비를 아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신청 및 사용방법 

1. 알뜰교통카드란?

알뜰교통카드는 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카드사가 손잡고 시행하는 사업입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 및 지급하고, 카드사 추가 할인 혜택을 제공해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알뜰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전국적으로 확대되면서 67만명을 넘어섰다 합니다. 이렇게 이용자가 늘어난 것은 교통비 절감 효가가 크기 때문일 겁니다. 알뜰교통카드 월평균 할인금액은 1만 3천원으로 교통비를 21%가량 절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합니다.

 

7월부터는 알뜰교통카드가 혜택을 대폭 강화한 알뜰교통카드플러스 카드로 이름을 바뀌면서 새롭게 개편됩니다.

7월부터는 월 마일리지 적립횟수가 44회에서 60회까지 증가하면서 최대 80만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 앱 마일리지 적립 : 최대 20%

- 카드사 혜택 : 최대 10%

 

예를 들어 35살 이상 일반 이용자가 매일 요금 3천원 (완복 6천원)을 내고 800m 이상 이동하면, 한 달 교통요금 18%에서 마일리지로 2만7천원(15%)를 되돌려 받고, 카드사로부터 4만원 가량의 혜택을 통해 매달 37.2%가량의 교통비를 아끼는 셈입니다.

 

2. 신청방법

카드사 또는 티머니페이, 모바일캐시비 등을 신청한 후에 앱을 설치하고 회원가입을 진행한 뒤 발급받은 카드를 등록해야 합니다. 19세 이상으로 본인 인증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이용방법

 

 

3. 알뜰교통카드 사용방법

알뜰교통카드를 발급받고 앱 다운로드 및 회원가입을 완료했다면 다음과 같은 절차로 마일리지가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방법

 

1) 출발지에서 출발하기를 누르고 목적지에 도착하여 도착버튼을 터치하여 출발지에서 대중교통 승차지점까지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 측정

2) 대중교통 하차지점에서 도착지까지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 측정

3) 카드사로부터 대중교통 이용정보 수신

4) 대중교통 이용정보와 알뜰교통카드 앱 출발/도착정보 일치 여부 확인

5) 정보 확인된 경우 이동 거리만큼 마일리지 적립

 

한달에 15차례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하고 800m까지는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해야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4. 알뜰교통카드플러스 카드사별 기준

알뜰교통카드 발급이 가능한 카드사가 확대되어 선택권이 확대되었습니다. 카드사마다 전월 실적 조건과 혜택이 다르니 비교 선택해야 합니다.

- 기존 :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티머니, 로카모빌리티, DGB

- 플러스 : 기존 카드사  + 삼성, KB 국민카드, 현대카드, NH농협카드, 광주은행, K뱅크, BC카드 추가

 

할인율은 하나카드가 20%로 가장 높지만 전월 실적이 50만원 이상이어야 하고, 월 최대 할인한도가 1만 5천원입니다. 연회비가 1만 7천원으로 7개 카드사 상품 중에서 가장 비싸다는 점은 고려해야 합니다.

할인한도가 좋은 것은 우리카드입니다. 할인율이 10%로 낮지만 30만원, 70만원, 120만원 전월 실적에 따라서 월 1만, 2만, 4만원으로 할인한도가 달라집니다. 전월 실적이 120만원 이상으로 사용이 많은 사람이라면 유리합니다.

BC카드와 국민카드는 연회비 6천원과 8천원으로 저렴합니다. BC카드는 15% 할인율을 제공하고 국민카드는 10% 할인율을 제공합니다.

 

 

5.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기본마일리지 2천원 미만 2천원 ~ 3천원 3천원 이상 비고
일반층 250원 350원 450원 이동거리 800m 기준
(800m 미만 시 거리 비례 지급)
청년층 350원 500원 650원
저소득층 700원 900원 1,100원

- 이동거리 확인 불가 시 최소 마일리지 50원 지급

- 미세먼지 저감조치 발령일, 환경/교통 관련 기념일 마일리지 2배 지급

 

■ 마일리지 적립 기준 : 월 대중교통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 지급

- 가입 첫달의 경우 15호 미만도 적립액 지급

- 60회 이상 이용 시 적립금이 많은 순으로 60회에 대한 적립금액 지급

 

■ 마일리지 최대 횟수 확대

- 기존 : 최소 15회 이상 최대 44회까지

- 플러스 : 최소 15회 이상 최대 60회 가지

 

 

공공요금이 인상되고 있는데 마일리지 확대로 교통비 부담을 줄여주고, 환경을 보호하자는 취지가 좋아 보입니다. 몇 백원 혹은 몇 천원 아끼기 위하여 앱을 켜고 끄고 하는 일이 귀찮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환경까지 보호하면서 나의 건강 지수가 올라가고 마일리지 적립액도 올라가니 많은 참여 응원합니다.